특수각의 삼각비
삼각비(와 그 확장인 삼각함수)를 처음 배우게 되면 특수각이라는 이름으로 자주 쓰는 0˚, 30˚, 45˚, 60˚, 90˚와 좀 더 나가면 15˚, 75˚, 22.5˚ 등의 각에서 삼각비의 값을 계산해보게 됩니다. 여기에다 특수각이란 이름까지 붙여가면서 흔히들 쓰는 이유야 당연하겠지만 육십분법으로 나타냈을 때 정수이거나, 90˚를 2의 거듭제곱으로 나눈 값이라서 사람 입장에서 편하기 때문이죠. 호도법을 써서 좀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$\pi$의 유리수배라서 많이 쓴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. 그런데 특수각의 삼각비를 살펴보면 대부분 근호가 하나씩은 포함돼있고, 유리수인 경우는 어째 사인과 코사인의 경우에 0, 1/2, 1 밖에 없는 거 같습니다. 과연 그럴까요?
니벤의 정리
먼저 다음 보조정리를 먼저 증명하겠습니다.
양의 정수 $n$에 대해
를 만족하는 $n$차 정수 계수 일계수 다항식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다항식을 일계수 다항식(monic polynomial)이라고 합니다. $F_n(x)$가 존재한다.
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합니다. $n=1$과 $n=2$일 때
로 존재합니다. $n\ge2$일 땐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에 의해
이므로 양변에 2를 곱하고 $x=2\cos\theta$, $F_{n-2}(x)=2\cos(n-2)\theta$, $F_{n-1}(x)=2\cos(n-1)\theta$를 대입하면
가 되어 $2\cos n\theta$ 또한 $x$에 대한 $n$차 정수 계수 일계수 다항식이 됩니다.
이제 본격적으로 특수각의 삼각비에 관련된 니벤의 정리(Niven’s theorem)을 증명해봅시다.
$0\le a\le\frac 1 2$인 유리수 $a$에 대해 $\sin\pi a$가 유리수인 경우는
뿐이다. 마찬가지로 $\cos\pi a$가 유리수인 경우는 $a=0, \frac 1 3, \frac 1 2$ 뿐이다.
앞의 보조정리를 이용해 코사인에 대해 먼저 증명하고 사인에 대해 증명합니다. 0 이상 $\frac 1 2$ 이하인 유리수 $a$에 대해 $\cos\pi a$가 유리수라고 가정합시다. 유리수이기 때문에 적당한 양의 정수 $n$과 $k$가 있어 $a = \frac{2k}n$로 쓸 수 있습니다. 또한 $c=2\cos\pi a$라 하면 보조정리에 따라
따라서 $c$는 $n$차 정수 계수 일계수 다항방정식 $F_n(x) - 2 = 0$의 유리근이 됩니다. 그런데 정수 계수 다항방정식의 모든 유리근은 상수항의 약수를 최고차항의 약수로 나눈 꼴이고, 이 방정식은 일계수 다항식이어서 모든 유리근은 분모가 1 또는 -1, 즉 정수근입니다. $c$의 가능한 범위는 0 이상 2 이하이므로 $c$는 0, 1, 2 중 하나일 수밖에 없고, 각 경우에 $a$는 $0, \frac 1 3, \frac 1 2$입니다. 한편
이므로 $\sin\pi a$가 유리수인 경우는 $\frac12-a=0, \frac13, \frac12$인 경우뿐이고 각 경우에 $a$는 $0, \frac16, \frac12$입니다.
응용
몇 가지 따름정리를 더 보고 갑시다.
$0\le a<\frac12$인 유리수 $a$에 대해 $\tan\pi a$가 유리수인 경우는
뿐이다.
$\tan\pi a$가 유리수이면
도 유리수입니다. 그런데 니벤의 정리에 의해 $0\le a<\frac12$ 범위에서 $\cos2\pi a$가 유리수인 경우는 $a=0,\frac16,\frac14,\frac13$뿐이고, 이 중 $\tan\pi a$가 유리수인 걸 찾아보면 $a=0,\frac14$입니다.
$0\le a\le\frac12$인 유리수 $a$에 대해 $\sqrt2\sin\pi a$가 유리수인 경우는
뿐이다.
정리 3과 완전히 동일합니다.